당혹감이 감동이 되기까지에는 꾀 많은 시간을 필요로하는데
배경 이야기는 그 과정을 조금 당길 수 있게한다
난해하지만 자꾸 궁금한 현대 예술의 매력
——
발레에 대한 도전, 현대무용의 시작
모더니즘의 출현과 20세기 초 새로운 춤
인위적 기교, 플롯, 감정표현에서 탈피
아름다움만 추구하지 않음
1세대 자기표현 이사도라던컨
2세대 대중에게 다가가기
춤의 본질을 되묻다, 포스트 모더니즘
지금의 현대무용은 춤의 본질을 진정으로 반영하고 있는가
인접예술과의 교츄
신체의 민주화. 모든 신체의 움직임이 중요
다시 네러티브 중요시, 극장문화 속으로 재진입
컨템포러리, 동시대의 춤
현대무용의 전환기 이후 현대까지
동시대에 존재하는 모든 춤을 지칭
무용가 자신을 표현 ->관객과 예술가 상호 독립적 관계
발레와 현대무용은 적대관계 -> 통합 경계무너지고 다양성 확보
극장장치의 도입
시대별 주요 안무가
1947 킬리안 - 클래식 음악 및 훈련법 활용
1947 윌리엄 포사이스 - 설치예술가로변모 체험적요서 반영 안무적 오브제
1960 안느 테레사 켈스마커 - 음악요소 분석 안무에 적용
1967 차르티에&카리조 - 초현실적연출 연극적 성향강함
1970 크리스탈 피테 - 연극적요소 활용 미장센 만드는데 뛰어남
1974 아크람 칸 - 방글라데시 이민자 뿌리중요 문화적다양성
1982 마르코스 모라우- 지역성관심 다양한 장르결합
1984 알렉산더 에크만 - 무용예술로 영상예술 신경씀 스펙타클 장면 빠른 전환
반응형
'- Event&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씨의 신 / 비트포비아 홍대 (0) | 2019.07.29 |
---|---|
GDF2019 / 경기도문화의전당 / 수원 (0) | 2019.07.22 |
김영하 강연 / 강남구청 (0) | 2019.06.27 |
서울국제도서전 / 코엑스 (0) | 2019.06.22 |
국제차문화대전 / 코엑스 (0) | 2019.06.16 |